목록코어데이터 (3)
소피it블로그

https://developer.apple.com/documentation/coredata/setting_up_a_core_data_stack Apple Developer Documentation developer.apple.com 앱의 객체들을 관리하고 저장해주는 클래스를 셋업해보자. 1. 개요 데이터 모델 파일을 생성한 후에 앱의 모델 계층을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클래스들을 생성하라. 이 클래스들을 통틀어 Core Data stack 이라고 부른다. NSManagedObjectModel의 인스턴스는 앱의 타입, 프라퍼티, 관계를 묘사하는 모델 파일을 나타낸다. NSManagedObjectContext의 인스턴스는 앱의 타입의 인스턴스들의 변화를 감지한다. NSPersistentStoreCoordinat..

https://developer.apple.com/documentation/coredata/modeling_data Apple Developer Documentation developer.apple.com 데이터 모델은 앱의 객체에 관한 정보와 객체들이 어떻게 서로 관계를 맺는지에 대한 그래프를 포함한다. 프로젝트의 .xcdatamodeld 파일 패키지에 이 정보를 제공한다. 하단의 스크인샷은 지진 데이터의 피드를 보여주는 앱의 데이터 모델을 나타낸다. 객체를 entity로 묘사함으로써 데이터를 모델링하고, 그 과정에서 프라퍼티를 애트리뷰트와 관계로 추가하라. 또, 최종적으로 NSManagedObject 서브클래스를 각각 생성하여 변화 트랙킹과 라이프 사이클 관리를 상속하라.

https://developer.apple.com/documentation/coredata Apple Developer Documentation developer.apple.com 디바이스 하나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캐싱하는 것, 혹은 CloudKit를 통해 여러 디바이스에서 데이터를 싱크하는 것 1. 개요 코어데이터를 사용하면 오프라인 사용을 위한 앱의 영구적인 데이터 저장, 일시적 데이터의 캐싱, 그리고 앱에 디바이스 하나에서 사용할 undo functionality를 추가할 수 있다. iCloud 계정 하나로 여러 개의 디바이스 상에서 데이터를 싱크하고 싶은 경우에는 Core Data는 자동적으로 스키마를 CloudKit 컨테이너에 미러링한다. 코어 데이터의 데이터 모델 에디터를 통해 데이터의 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