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27)
소피it블로그
근황벌써 취업한 지도 1년 반이 넘게 지났고, 나는 아주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나름대로 적응해 가며 잘 지내고 있는 것 같다. 일이 잘 맞는가? 사실 잘은 모르겠다. 근데 살아가다 보니 진짜로 잘 맞는 일을 찾기는 정말 힘들다는 것을 깨달았고, 자기 일을 너무 사랑하고 일에서 진정한 행복을 얻는 사람은 글쎄, 거의 본 적이 없는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깊게 생각하지 않고 이 분야에서의 커리어를 이어나가기로 결심했다. 오히려 어렸을 때였으면 고민을 꽤 했을 텐데, 나도 살 만큼 살았는데 이 시점에 더 이상 고민하느라 시간을 보낼 여유는 없지 않은가. 내가 원래 하고 싶었던 것은 소설을 쓰는 것이었는데, 서사를 만들어내는 능력과 지속적으로 글을 써나갈 끈기가 매우 부족하다는 것을 깨닫고 난 이걸로는 밥..

너무 오랜만에 글을 남기려니 어색하다. 그간의 근황 업데이트 겸 적고 싶은 이야기가 많지만.. 우선 이 글에서는 간단하게 4월 27일에 본 정보처리기사 실기 1회 차 후기를 남기려고 한다. 문제 각각에 대한 것은 수제비 카페 찾아보시길.. 나는 그냥 전반적인 소감과 비전공자로서의 공부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만 적으려고 한다. 근데 다 적고 다시 보니 간략하기는커녕 아주 물 만난 물고기마냥 주절주절 tmi가 막 새어 나오네.. 투머치토커 기질 때문에 면접에서도 두괄식으로 간략하게 대답하기 힘들었는데.. 타고난 기질은 어쩔 수 없나 보다.쓸데없이 긴 히스토리내 블로그 글을 보면 알겠지만.. 필기 합격 및 1차로 실기에 도전했던 것은 무려 2022년 2회 차였다. 당시 나는 애플 디벨로퍼 아카데미 @ POSTE..
SAP 조직구조 중 PP에서 중요한 조직구조는 회사코드, 플랜트, 그리고 저장위치이다. 1. 클라이언트(Client) SAP 조직구조의 최상위 구성요소이다. 보통 클라이언트는 운영(production, PRD), 품질(quality assurance, QAS), 개발(development, DEV) 세 가지로 나뉜다. 개발 시스템에서는 실제 개발이, 품질 시스템에서는 테스트가 진행되며 운영 시스템에서는 최종적으로 운영에 필요한 모든 과정들이 작동한다. 클라이언트 하위의 조직 구조 및 마스터 데이터, 트랜잭션 데이터 등은 해당 클라이언트의 범위 안에서 생성되고 관리된다. 2. 회사코드(Company Code) 회사코드는 클라이언트 하위의 조직구조로, 회계단위가 다르면 서로 다른 회사코드를 가지게 된다. 회..
PP 모듈의 생산 계획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모든 계획을 반드시 세워야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적절한 계획을 선택하여 수립하면 된다.Sales and Operations Planning (S&OP): 생산량 결정을 위한 계획. Sales planning은 demand planning이라고도 하며 재고나 수용력 등을 고려하지 않고 과거의 지표를 통해 수요를 예측한다. 한편 operations planning은 재고와 수용력을 고려하여 sales planning을 바탕으로 설계된다.Long Term Planning (LTP): 장기계획이자 시뮬레이션으로, planned independent requirements(PIR)의 영향을 점검한다.Master Production Scheduling ..